티스토리 뷰
가톨릭 신앙생활에서 '기도'는 하느님과의 사랑을 이어주는 대화입니다. 그중에서도 영광송은 삼위일체 하느님께 찬미를 드리는 짧고 간결한 기도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영원한 영광을 고백합니다.
이 기도는 묵주기도 안에서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다양한 순간에 자주 사용되며, 하느님을 늘 기억하고 찬양하는 삶을 살도록 이끌어 줍니다. 이 글에서는 영광송의 기도문과 의미, 그리고 이를 통해 신앙 안에서 어떤 태도를 지닐 수 있는지를 함께 살펴봅시다.
✝️ 가톨릭 영광송
밑줄 부분에서 고개를 숙이며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영광송은 삼위일체 하느님께 바치는 간단하고도 깊은 신앙 고백입니다. 고개를 숙이는 동작은 경건한 태도와 하느님께 경외심을 상징하며, 이 기도를 바칠 때 신자들은 자신의 삶을 주님께 의탁하는 마음으로 기도합니다.
✝️ 가톨릭 주요 기도문 모음
다양한 전통 기도문은 신자들의 일상 안에서 하느님과의 관계를 심화시키는 도구로 활용됩니다.
천주교 주요 기도문 모음 |
|
묵주기도 환희의 신비 | 묵주기도 고통의 신비 |
묵주기도 영광의 신비 | 묵주기도 빛의 신비 |
성호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 구원을 비는 기도 |
사도신경 | 반성 기도 |
십계명 | 고백 기도 |
통회 기도 | 삼덕송 |
봉헌 기도 | 삼종 기도 |
부활 삼종 기도 | 식사 전 기도 |
식사 후 기도 | 일을 시작하며 바치는 기도 |
일을 마치고 바치는 기도 | 아침 기도 |
저녁 기도 | 고해성사 |
✝️ 가톨릭 영광송을 마치며
영광송은 기도의 마침표이자 신앙 고백의 요약입니다. 비록 한 줄 남짓한 짧은 문장이지만, 삼위일체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와 사랑, 경외가 온전히 담겨 있습니다. 우리가 이 기도를 자주 바칠수록, 마음속에서 하느님의 영광을 먼저 생각하게 되고, 우리의 삶이 더 깊은 신앙 안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하루를 마무리할 때, 기도를 마칠 때, 또는 문득 하느님을 기억하고 싶을 때마다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라는 이 기도를 마음에 담아 바쳐보세요. 그것이 곧 믿음의 삶을 살아가는 작은 걸음이 됩니다.
'가톨릭 기도문 > 가톨릭 주요 기도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 사도 신경 (0) | 2025.07.12 |
---|---|
가톨릭 저녁기도 (0) | 2025.07.11 |
가톨릭 아침기도 (0) | 2025.07.10 |
가톨릭 고백 기도 (0) | 2025.07.09 |
가톨릭 일을 마치고 바치는 기도 (0) | 2025.07.08 |